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력기술서 제대로 쓰는 법 (핵심구성, 작성요령, 실무 예시)

by 그로파워 2025. 4. 7.

채용 과정에서 경력기술서는 단순한 서류가 아닙니다.
자신의 업무 경험을 객관적으로 정리하고, 지원한 직무에 얼마나 적합한 인재인지 입증하는 가장 중요한 문서입니다. 특히 3년 이상의 경력직 채용이나 전직 이직자, 재취업을 준비하는 중장년층, 경단녀에게 경력기술서는 곧 ‘자기소개서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이 글에서는 경력기술서의 개념부터 구체적인 작성법, 직무별 예시와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경력기술서란? (개념과 목적)

경력기술서란 이전 직장에서 어떤 업무를 수행했는지, 어떤 성과를 냈는지를 구체적으로 서술한 문서입니다. 단순한 이력서보다 상세하고, 자기소개서보다 실질적이며, 포트폴리오보다 객관적인 ‘경력의 증명서’입니다.

경력기술서를 작성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력서에서 간략히 언급한 경력을 구체적 성과 중심으로 설명하기 위함
  • 지원한 직무와 관련된 업무 경험을 논리적으로 연결해 설득력을 높이기 위함
  • 자신의 업무 역량과 문제해결능력, 협업 능력 등을 근거 중심으로 보여주기 위함

예를 들어 단순히 “SNS 마케팅 담당”이라고 쓰기보다는,
→ “SNS 채널(인스타그램, 블로그) 콘텐츠 기획 및 운영. 월평균 팔로워 12% 증가 및 방문자 40% 상승 유도. 주요 캠페인: 봄 정기이벤트(도달률 150% 증가)” 등으로 구체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경력기술서 작성법 (구조와 항목별 가이드)

① 기본 구성

  • 소속회사명
  • 근무기간
  • 직위 및 부서
  • 주요업무
  • 성과 및 프로젝트
  • 기술/역량/활용 도구 등

② 핵심 작성 요령

  1. 결과보다 과정과 기여도를 강조하라
    “매출 30% 증가”도 좋지만, 어떤 전략과 노력을 통해 달성했는지에 집중해야 합니다.
    → 예: 신규 고객 타깃 데이터 분석을 통한 키워드 리포트 작성 → 타깃 맞춤 캠페인 집행
  2. 숫자로 증명하라
    성과는 되도록 수치화하여 표현합니다.
    → “고객 관리 담당” → “기존 고객 200명 유지, 신규 고객 50명 유치, 재구매율 15% 증가 유도”
  3. 직무와 연관된 용어를 활용하라
    지원한 직무가 ‘기획’이라면, 콘텐츠 기획, 마케팅 전략, 기획안 작성 등 직무 키워드를 반복 노출하면 좋습니다.
  4. 최근 경력일수록 자세히, 오래된 경력은 간략히
    지원 직무와 관련 없는 경력은 1~2줄 요약으로 처리하고, 직무 관련 경력에 집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5. STAR 기법 활용 (Situation, Task, Action, Result)
    어떤 상황(S), 맡은 과제(T), 수행한 행동(A), 결과(R)의 순서로 구성하면 글이 논리적으로 읽힙니다.

3. 직무별 경력기술서 예시 및 작성 팁

◈ 마케팅 직무 예시

  • 회사명: OOO 마케팅 에이전시
  • 근무기간: 2020.03 ~ 2023.01
  • 직위: 콘텐츠 마케팅 담당자
  • 주요업무:
    • SNS 콘텐츠 기획 및 업로드 관리 (인스타그램, 블로그, 유튜브)
    • 월간 콘텐츠 캘린더 운영
    • 캠페인 성과 분석 및 보고서 작성
  • 성과:
    • 인스타그램 팔로워 3개월간 12,000명 증가
    • 블로그 평균 체류시간 35% 향상
    • 네이버 검색광고 클릭률 2.1% → 3.8% 개선
  • 활용 도구: 포토샵, 프리미어프로, GA, 키워드마스터

◈ 사무/총무직 예시

  • 회사명: ㈜한국 OOO
  • 근무기간: 2018.01 ~ 2022.12
  • 직위: 총무팀 사원
  • 주요업무:
    • 사무비품 발주 및 예산 관리
    • 연간 행사 기획 및 운영 (워크숍, 송년회 등)
    • 문서 관리 및 비품 재고 체크
  • 성과:
    • 연간 비품 예산 15% 절감
    • 사내 행사 만족도 평균 92% 기록
    • 종이 문서 70% 이상 디지털화 완료

◈ IT 개발 직무 예시

  • 회사명: ㈜비트 OOO
  • 근무기간: 2019.04 ~ 2024.03
  • 직위: 프론트엔드 개발자
  • 주요업무:
    • React 기반 웹사이트 프론트 개발
    • UI 개선 및 유지보수
    • Jira, Git을 활용한 협업 개발
  • 성과:
    • 페이지 로딩 속도 2.5초 → 0.9초 단축
    • 신규 회원가입률 18% 증가
    • 기술 블로그 운영 (월 방문자 4,000명 유지)
  • 스킬: HTML, CSS, JavaScript, React, Git

결론

경력기술서는 단순히 과거의 이력을 나열하는 문서가 아닙니다.
‘어떤 사람이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성과를 낼 수 있는지’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득하는 자기만의 비즈니스 소개서입니다.

잘 쓴 경력기술서 하나가 수십 개의 자기소개서보다 더 강력한 경쟁력을 발휘합니다.
지원 직무에 맞는 맞춤 구성, 수치화된 성과,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작성만 지킨다면 여러분의 경력은 누구보다 설득력 있게 보일 것입니다.
오늘, 여러분의 경력기술서를 다시 한 번 꺼내 점검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